-
개기일식 및 빛의 굴절을 확인 가능한 과학놀이 상자 말들기과학놀이 2017. 8. 16. 15:33
개기일식 과학놀이를 유용한 설명이 있는 동영상을 공유해봅니다.
일반적인 개기일식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달이 태양을 가릴때 지구의 어느 한지역은 개기일식이 일어 나게 된다.. 아래 그림을 보면 이해가 쉬울 겁니다.
태양을 달이 가리는 모습
지구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태양의 모습을 보게 됩니다.
아래는 개기일식에 대한 테스트 가능한 상자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한 동영상입니다. 참고하세요..
참고사항 ( 개기 일식 백과사전 )
우주공간에서 태양-달-지구가 일직선으로 놓이게 되면 지구상에서 달의 그림자 때문에 태양을 볼 수 없는 지역이 생긴다. 지상에서 볼 때 이 현상은 마치 달이 서서히 태양을 가리는 것처럼 보이며 이것을 개기일식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생각할 때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고 있기 때문에 한 달에 한 번씩은 태양-달-지구가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고 따라서 개기일식도 한 달에 한 번씩 발생할 것 같지만 사실은 천구상에서 태양의 경로(황도) 즉, 지구 공전 궤도면과 달의 공전 궤도면인 백도면은 서로 일치하지 않고 약 5° 정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공간적으로 태양-달-지구가 일직선상에 놓이는 경우는 흔하게 발생하지 않는다.
전 지구상에서 개기일식은 약 2년에 한 번 정도 일어나며 발생 시간은 태양과 달, 지구가 이루는 각도가 정확하게 180°에 가까울수록 길어지며 대개 짧게는 30초에서 길게는 6분 정도 진행된다. 개기일식이 발생하면 태양의 최 외곽 대기인 코로나가 뚜렷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태양 코로나를 연구하는 태양 천문학자들은 2년에 한 번 정도 나타나는 중요한 관측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 다양한 관측기술을 동원하여 개기일식을 관측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개기일식 [皆旣日蝕, solar eclipse] (지구과학사전, 2009. 8. 30., 북스힐)
'과학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선으로 할수 있는 8가지 팁들.-꽃병만들기, CD 보관, 손 주물럭 놀이, 풍선 자동으로 키우기, 지우개로 사용하기, 고무총으로 사용, 피젯스피너의 색깔 (0) 2017.08.18 코카콜라와 콜라제로 음료수를 끊여서 콜라 청 만들기 (0) 2017.08.17 정전기 과학놀이를 할수 있는 9가지 방법 (0) 2017.07.14 설탕으로 만든 그림 (0) 2016.05.09 설탕 크리스탈 장식품 만들기 (0) 2016.05.08